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3세기 로마 공화정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호민관, 법무관, 집정관 등을 역임했다. 그는 플레브스 호민관으로 농지 개혁을 추진하고, 감찰관으로 플라미니우스 가도와 플라미니우스 경기장을 건설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또한,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집정관으로 선출되었으나, 트라시메노 호수 전투에서 한니발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32년에 플레브스 호민관으로 선출되었다. 키케로는 플라미니우스가 민중 앞에서 뛰어난 웅변가였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그가 호민관직을 얻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3]
기원전 232년, 호민관에 취임한 플라미니우스는 원로원의 반대를 무릅쓰고, 약 반세기 전에 덴타투스에 의해 갈리아족으로부터 획득한 피케눔 주변(현재 리미니 남쪽)을 대상으로 한 토지 분배법을 제정했다.[99] 그러나, 원래 거주민이었던 갈리아족의 반발을 받게 된다.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27년에 프라에토르(법무관)로 선출되었다. 이 해는 로마가 해외 속주를 획득하면서 프라에토르를 4명으로 선출한 첫 해였으며, 플라미니우스는 시칠리아의 첫 번째 프라에토르가 되었다.[39] 그는 시칠리아에서 군대를 지휘하고 로마 행정에 대한 반란을 진압할 수 있는 권한인 ''임페리움''(군사 지휘권)을 가지고 시칠리아를 통치하는 임무를 맡았다. 또한 시칠리아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법 문제를 처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마 원로원과 정기적으로 서신을 교환하는 행정관이기도 했다. 플라미니우스의 시칠리아 통치는 속주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96년, 그의 아들이 아이딜레(조영관)로 재직하는 동안, 시칠리아 주민들은 아버지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100만 척도의 곡물을 로마로 가져가도록 보냈고, 곡물 1 척도당 아스 2개에 판매했다.[40] 곡물 유입의 결과로 로마는 플라미니우스가 외국 도시 국가를 다스린 능력을 기념하기 위해 이틀 동안 ''루디 로마니''(로마 경기)를 웅장하게 축하했다.[41]
기원전 223년,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는 신인으로서 민중의 지지를 받아 푸블리우스 푸리우스 필루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그의 임기는 시작부터 불길한 징조에 시달렸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집정관 선거 당시 사제들은 새들의 비행에서 불길한 징조를 발견했고, 플라미니우스가 알프스 이북 갈리아로 가는 동안 피케눔을 흐르는 강물이 핏빛으로 물들었으며, 아리미눔에서 세 개의 달이 관측되었다고 한다.[42]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22년에 기병대장으로 복무했으며, 독재관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루푸스 휘하에서 임명되었다.[56] 기병대장은 로마 독재관의 부관으로, 독재관이 정치 및 군사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 임명되었다. 따라서 기병대장의 임기는 독재관과 함께 종료되었다.[57] 플루타르코스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모두 플라미니우스의 기병대장 임기가 불길한 징조—즉 부적절한 시기에 땃쥐 소리가 들린 것—로 인해 끝났다고 전하지만, 이러한 징조 이후의 사건 전개에 대해서는 출처마다 의견이 다르다. 플루타르코스는 "시민들이 이 관리들을 폐위시켰다"(플라미니우스와 미누키우스)라고 주장하는 반면,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두 사람이 그들의 직책에서 물러났다고 주장한다.[58]
플라미니우스는 루키우스 아에밀리우스 파푸스와 함께 기원전 220년에 감찰관으로 선출되었다.[59] 그는 로마의 해방된 자유민들을 기존의 4개 도시 부족(에스퀼리나, 팔라티나, 수부라, 콜리나)으로 등록하고 조직했으며,[60] 파두스강 양쪽에 플라켄티아와 크레모나를 식민시로 건설했다.[61] 또한 플라미니우스 가도와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건설을 담당했다.
2. 초기 생애와 정치 입문
그의 임기 동안, 플라미니우스는 '렉스 플라미니아 데 아그로 갈리코 에 피케노 비리팀 디비둔도(Lex Flaminia de Agro Gallico et Piceno viritim dividundo)'를 제안했다. 이 법은 로마가 기원전 283년에 세노네스족을 격파하여 확보한 아게르 갈리쿠스(Ager Gallicus) 피케누스 지역, 즉 피케눔과 아리미눔 주변의 토지에 로마 시민을 정착시키자는 논란이 많은 농지 개혁 법안이었다.[4]
폴리비우스는 이 법으로 인해 로마인들이 보이지족 영토 근처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했고, 결국 기원전 225년에 갈리아 반란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6] 로마의 승리 이후 약 2580km2가 '아게르 푸블리쿠스(ager publicus)'가 되었지만, 이 법에 따라 모든 가용 토지가 분배된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플라미니우스의 개혁 이전에 일부는 사유화되었다.[7] 이 토지는 대량의 포도주를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당한 가치가 있었다.[8] 고대 자료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정착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추정치에 따르면 가족을 제외하고 약 19,000명의 시민이 정착했다.[9]
고대 자료는 이러한 조치에 대한 원로원의 반대를 묘사하는데, 여기에는 플라미니우스의 라이벌인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의 반대가 포함되었다.[12]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플라미니우스가 원로원의 위협과 간청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그가 계속하면 군대가 징집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밀어붙였다고 기록한다.[13]
3. 호민관 시절 (기원전 232년)
피그 비쉬니아는 해당 법이 통과된 점, 호민관의 거부권 행사가 없었던 점을 들어, 출처에서 나타난 것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법은 M.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의 집정관 임기 중에 통과되었으며, 플라미니우스가 아에밀리우스 가문과 연관이 있었으므로 지지자였을 가능성이 있다.[33] 키케로가 언급한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루가의 침묵 역시 원로원에서 해당 법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34] 루키우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또한 지지자였을 수 있는데, 그의 찬사에서 그가 토지 분배를 위해 임명된 위원회에 참여한 것으로 묘사되며, 이 시기에 가능한 분배는 플라미니우스의 법뿐이었기 때문이다.[35]
플라미니우스의 법은 참전 군인에게 토지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로마 정책의 연장선이었기 때문에, 후대의 묘사만큼 논란이 많지 않았을 수 있다.[35]
3. 1. 렉스 플라미니아 (Lex Flaminia)
기원전 232년, 플레브스 호민관이었던 플라미니우스는 '렉스 플라미니아 데 아그로 갈리코 에 피케노 비리팀 디비둔도(Lex Flaminia de Agro Gallico et Piceno viritim dividundo)'라는 법을 제안했다.[4] 이 법은 과거 세노네스족에게서 빼앗은 아게르 갈리쿠스(Ager Gallicus) 지역, 즉 피케눔과 아리미눔 주변 땅에 로마 시민을 정착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 고대 자료에는 왜 이 지역이 선택되었는지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5]
폴리비우스는 이 법 때문에 로마인들이 보이지족 영토 근처에 정착하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했고, 결국 기원전 225년 갈리아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6] 로마가 승리한 후 약 2580km2가 아게르 푸블리쿠스(ager publicus)가 되었지만, 이 법에 따라 모든 토지가 분배된 것은 아니었다.[7] 이 땅은 대량의 포도주를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당한 가치가 있었다.[8]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정착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가족을 제외하고 약 19,000명의 시민이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 학자들은 육로 운송이 어려웠을 것이므로 해상 운송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0]
이 법에 대한 원로원의 반대는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를 포함한 여러 인물들이 주도했지만,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플라미니우스가 원로원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법안을 밀어붙였다고 기록한다.[12][13] 플라미니우스가 농지법을 제안했을 때 그의 아버지가 연설대에서 그를 끌어내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5] 키케로는 이 사건으로 플라미니우스의 아버지가 마이에스타스(로마 시민의 위엄 훼손)로 기소되었지만,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권위를 행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기록했다.[16]
초기 학자들은 플라미니우스를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와 비교하며, 원로원의 반대가 경제적 동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20] 그러나 이후 학자들은 정치적 동기, 군사적 우려 등 다양한 해석을 제시했다.
원로원의 반대가 갈리아와의 전쟁 가능성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30] 로마는 이미 여러 전선에서 전쟁을 치르고 있었기 때문에 또 다른 갈등을 원치 않았을 수 있다.[31]
피그 비쉬니아는 호민관의 거부권 행사가 없었던 점을 들어 법안에 대한 지지가 더 많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M.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와 루키우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등이 지지했을 가능성이 있다.[33][35]
플라미니우스의 법은 참전 군인에게 토지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로마 정책의 연장선이었기 때문에, 후대의 묘사만큼 논란이 많지 않았을 수 있다.[35] 원로원의 다양한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이 법안을 통과시키려 했을 때, 그의 아버지가 그의 어깨를 잡았기 때문에 그만두었지만, 아무도 비난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남아있다.[99]
4. 법무관 시절 (기원전 227년)
5. 첫 번째 집정관 시절 (기원전 223년)
이러한 이유로 원로원은 두 집정관에게 로마로 돌아와 관직을 사임하고 전투를 금지하는 서신을 보냈다.[43] 그러나 플라미니우스는 서신이 도착하기 전에 아나레스족의 영토를 통해 갈리아 영토로 진입하여 그들을 우호 세력으로 만들었다.[44] 서신을 받은 후에도, 플라미니우스는 인수브리아족과의 전투를 벌여 그들을 완전히 격파했다.[45]
폴리비오스는 플라미니우스의 승리가 그의 군사 호민관들의 공이라고 평가한다. 호민관들은 이전 전투에서 갈리아인들의 칼이 처음 공격 후 쉽게 구부러져서 다시 펴지 않으면 쓸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46] 그래서 호민관들은 앞줄 병사들에게 창을 주어 갈리아인들의 칼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47] 그러나 폴리비오스는 플라미니우스가 강둑에 병력을 배치하여 퇴각할 공간을 주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48]
이러한 전술적 실수에도 불구하고, 로마군은 많은 전리품을 가지고 로마로 돌아왔다.[49] 플라미니우스의 개선식은 실제로 거행되었지만,[50] 자료에 따라 원로원이 그의 불복종을 이유로 개선식을 반대했으나 민회의 지지로 성사되었다는 기록도 있다.[54]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로마군은 병력 부족으로 긴급 모집한 병사들에게 이 개선식 때의 전리품을 장비로 지급하기도 했다.[101]
6. 기병대장 시절 (기원전 222년)
7. 감찰관 시절 (기원전 220년)
기원전 218년에는 호민관 퀸투스 클라우디우스를 지원하여, 원로원 의원과 그 자제에게 300암포라 이상의 대형 선박 소유를 금지하는 클라우디우스 법을 통과시켰다.
7. 1. 주요 업적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20년 감찰관으로 선출되어 여러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59]
8. 렉스 클라우디아 지지 (기원전 218년)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18년 호민관 퀸투스 클라우디우스가 제안한 클라우디우스 법 (렉스 클라우디아)을 지지한 유일한 원로원 의원이었다.[69] 이 법은 원로원 의원과 그 아들이 300 암포라 이상을 적재할 수 있는 선박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었다.[69] 이 법안은 원로원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통과되었다.[69]
학자들은 이 법의 의도와 영향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 원로원 의원의 해상 무역 제한: 리비우스는 "모든 금전적 이득은 원로원 의원에게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라고 주장했다.[69] 이를 바탕으로, 일부 학자들은 플라미니우스가 해상 무역과 이윤 추구가 로마 엘리트의 가치를 위협한다고 우려했다고 해석한다.[69] 니콜레는 이 법이 이미 원로원 의원들 사이에서 시행되던 전통적인 명예 규범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보았다.[70] 다름스는 해상 무역으로 얻는 이윤이 위험성이 높아 지배 계급의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1]
- 조세 수입업자(푸블리카니)의 정치적 영향력 강화: 카솔라는 원로원 의원들이 고객이나 해방 노예를 통해 법을 회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법이 오히려 새로운 인물(상인과 조세 수입업자)의 원로원 진입을 더 어렵게 만들려는 의도였다고 주장한다.[72] 야베츠는 플라미니우스가 원로원의 경쟁을 막고 싶어 했던 새로운 평민 출신 원로원 의원과 계약자를 지지했다고 주장했다.[73] 페이그 비쉬니아는 선박을 소유한 조세 수입업자들이 군대에 물품을 공급하는 계약을 입찰할 수 있게 되어 이 법으로 가장 큰 이득을 얻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74]
- 속주 총독의 무역 이윤 추구 방지: 이 법의 제정 시기가 최초의 두 로마 속주가 건설된 시기와 일치하므로, 총독들이 새로운 지위를 무역 이윤을 위해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였을 수 있다.[75]
- 정치적 해결책: 페이그 비쉬니아는 플라미니우스에게 이 법이 편리한 정치적 해결책이었다고 주장한다. 국가 계약에 대한 원로원 의원들의 경쟁으로 불만을 품은 조세 수입업자들이 정치에 입문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클라우디우스 법은 조세 수입업자들의 대규모 해상 무역 참여와 공직 출마를 동시에 막았다.[77]
피그 비쉬니아는 호민관의 거부권 행사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이 법이 출처에서 나타난 것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3] M.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의 집정관 임기 중에 통과되었으며, 플라미니우스가 아에밀리우스 가문과 연관이 있었으므로 지지자였을 가능성이 있다.[33] 키케로가 언급한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루가의 침묵 역시 원로원에서 해당 법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34] 루키우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또한 지지자였을 수 있는데, 그의 찬사에서 그가 토지 분배를 위해 임명된 위원회에 참여한 것으로 묘사되며, 이 시기에 가능한 분배는 플라미니우스의 법뿐이었기 때문이다.[35]
9. 두 번째 집정관 시절과 트라시메노 호수 전투 (기원전 217년)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217년, 그나이우스 세르빌리우스 게미누스와 함께 두 번째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그는 기원전 218년 렉스 클라우디아 법안을 지지하여 원로원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한니발이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를 침공하면서 제2차 포에니 전쟁이 발발했다. 플라미니우스는 로마에서 집정관 취임식과 전통적인 의식을 치르지 않고, 아리미눔에서 취임했다.[78] 그곳에서 전년도 트레비아 전투에서 한니발에게 패배한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휘하의 네 개 군단을 넘겨받았다.[79] 그는 신과 원로원의 뜻을 거스르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원로원의 소환 명령을 무시하고 군대를 이끌고 에트루리아로 향했다.[80]
봄이 되자 한니발은 겨울 숙영지를 떠나 아레티움을 점령하려 했다.[81] 이 소식을 들은 플라미니우스는 서둘러 아레티움으로 이동하여 한니발보다 먼저 도착했다. 그의 동료 집정관인 세르빌리우스는 다른 병력을 이끌고 아리미눔으로 이동했다.[82] 플라미니우스는 트라시메노 호수 전투에서 한니발의 매복에 걸려 대패하고 전사했다. 이 전투에서 로마군은 1만 5천 명이 사망하고 6천 명이 포로로 잡히는 큰 피해를 입었다.[104] 잇따른 패전으로 로마 원로원은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를 독재관으로 임명하여 지구전을 펼치게 된다.
9. 1. 전투의 경과와 플라미니우스의 죽음
한니발은 세르빌리우스가 증원군을 이끌고 도착하기 전에 플라미니우스가 전투를 벌이도록 유도하기 위해 아레티움 주변 늪지에 진을 치고 에트루리아 중부의 비옥한 시골을 약탈했다.[83] 이를 본 플라미니우스는 전쟁 협의회에서 인내할 것을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군대를 소집했다.[84]리비우스와 키케로의 기록에 따르면, 전투 소집 후 플라미니우스가 말에서 떨어지고 군단의 기를 움직일 수 없는 불길한 징조가 나타났다고 한다.[85]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라미니우스는 트라시메노 호수와 코르토나 산 사이 평원에 있는 한니발의 매복 지점으로 진격했다. 카르타고군은 가장 눈에 띄는 언덕에 스페인과 아프리카 병력, 산에 숨겨진 경무장 병력, 평원 입구 근처에 은폐된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플라미니우스의 병사들은 매복 공격을 받아 포위되어 전멸했다.[86]
기원전 217년, 플라미니우스는 다시 집정관으로 선출되었으나, 트라시메누스 호수에서 한니발의 복병을 만나 전사했고, 그의 부대도 전멸했다.[86] 한니발은 그의 유해를 정중하게 장례 치렀다고 전해지나, 실제로는 그의 시신을 찾을 수 없었다.[104]

10. 플라미니우스에 대한 평가
폴리비우스는 플라미니우스가 경솔하고 군사적 재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 리비우스는 그의 용기를 칭찬했다.[93]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는 플라미니우스를 포풀라레스(민중파) 지도자로 보는 전통적인 견해와, 그의 정치적 입장이 복잡하고 일관성이 없었다는 수정주의적 견해가 대립한다.[93]
플라미니우스는 보수적인 파비우스 막시무스에 반대하는 포풀라레스(populares) 스타일의 지도자로 평가받았다.[93] 그러나 카솔라는 로마의 팽창에 대한 상호 반대, 이탈리아의 이익 지지, 종교적 관습에 대한 경멸 등을 이유로 그들의 정치적 연합을 주장하며 이에 이의를 제기한다.[94] 데블린은 파비우스가 플라미니우스의 농지법에 명확히 반대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95] 플라미니우스에게 일관된 파벌적 정렬이나 대중 운동을 귀속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며, 그의 선거 및 정치적 성공은 주로 그의 군사적, 행정적 재능 덕분이라고 주장한다.[97]
11. 플라미니우스 가문의 후손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187년에 집정관을 지냈으며 북부 이탈리아에서 프리니아테스와 아푸아니를 상대로 전쟁을 벌인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를 아들로 두었다.[92]
참조
[1]
웹사이트
Brutus
http://www.attalus.o[...]
[1]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De Inventione
https://www.loebclas[...]
[2]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3]
웹사이트
Brutus
http://www.attalus.o[...]
[4]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De Senectute
https://penelope.uch[...]
[4]
웹사이트
Academica Priora
https://www.loebclas[...]
[4]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5]
서적
State, society and popular leaders in mid-Republican Rome, 241–167 B.C
Routledge
1996
[6]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6]
서적
1996
[7]
서적
Public land in the Roman republic: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ager publicus in Italy, 396–89 BC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8]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8]
웹사이트
De Re Rustustica
https://www.loebclas[...]
[9]
서적
1996
[10]
서적
1996
[11]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1]
서적
1996
[12]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2]
웹사이트
De Senectute
https://penelope.uch[...]
[12]
웹사이트
Academica Priora
https://www.loebclas[...]
[12]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3]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4]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4]
웹사이트
Academica Priora
https://www.loebclas[...]
[14]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4]
서적
1996
[15]
웹사이트
De Inventione
https://www.loebclas[...]
[15]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6]
웹사이트
De Inventione
https://www.loebclas[...]
[17]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8]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19]
웹사이트
Brutus
http://www.attalus.o[...]
[19]
서적
1996
[20]
서적
1996
[20]
간행물
The Political Position Of C. Flaminius
1979
[21]
서적
1996
[22]
서적
1996
[23]
서적
1996
[24]
서적
1996
[25]
간행물
1979
[26]
서적
1996
[27]
서적
1996
[28]
간행물
1979
[29]
간행물
1979
[30]
서적
1996
[30]
서적
2010
[31]
서적
1996
[32]
서적
1996
[32]
서적
2010
[33]
서적
1996
[34]
웹사이트
De Senectute
http://penelope.uchi[...]
[35]
서적
1996
[36]
서적
2.21.7-8
https://www.perseus.[...]
[36]
서적
De Senectute, 11
https://penelope.uch[...]
[36]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Scholars Press
[37]
서적
De Senectute, 11
https://penelope.uch[...]
[37]
서적
[38]
서적
[39]
웹사이트
20
https://www.livius.o[...]
2018-08-19
[40]
서적
33.42.8
https://www.perseus.[...]
[41]
서적
34.42.8
https://www.perseus.[...]
[42]
서적
The Life of Marcellus", 4.2.1, 2
https://penelope.uch[...]
[43]
서적
The Life of Marcellus", 4.2.3
https://penelope.uch[...]
[44]
서적
2.32, 33
https://penelope.uch[...]
[45]
서적
The Life of Fabius Maximus", 4.2
https://penelope.uch[...]
[46]
서적
2.33 2-3
https://penelope.uch[...]
[47]
서적
2.33 4
https://penelope.uch[...]
[48]
서적
2.33 7-8
https://penelope.uch[...]
[49]
서적
2.33 9
https://penelope.uch[...]
[50]
서적
http://www.attalus.o[...]
[51]
서적
The Life of Marcellus", 4.2.3
https://penelope.uch[...]
[52]
서적
21.63.7
https://www.perseus.[...]
[53]
서적
4.704–706
https://archive.org/[...]
[54]
서적
21.63.2
https://www.perseus.[...]
[55]
서적
http://www.rhm.uni-k[...]
[56]
서적
The Life of Marcellus", 5.3-6
https://penelope.uch[...]
[57]
서적
Magister Equitum.
Oxfo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Life of Marcellus", 5.3-6
https://penelope.uch[...]
[58]
서적
1.1.5
https://www.loebclas[...]
[59]
서적
23.23
https://www.perseus.[...]
[60]
웹사이트
20
https://www.livius.o[...]
2018-08-19
[61]
서적
3.40
https://penelope.uch[...]
[62]
서적
Roman Voting Assemblies from the Hannibalic War to the Dictatorship of Caesa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63]
서적
De Lingua Latina
[64]
서적
Roman circuses: arenas for chariot racing
Batsford
[65]
서적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6]
서적
[67]
문서
Epigram vii. 93.8
[68]
웹사이트
Gaius Flaminius
https://www.britanni[...]
2017-09-16
[69]
서적
21.63
https://www.perseus.[...]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Feig Vishnia
1996
[72]
서적
Feig Vishnia
1996
[73]
서적
Feig Vishnia
1996
[74]
서적
Feig Vishnia
1996
[75]
서적
Feig Vishnia
1996
[76]
서적
Feig Vishnia
1996
[77]
서적
Feig Vishnia
1996
[78]
웹사이트
21.63
https://www.perseus.[...]
[79]
웹사이트
21.15.6.
https://www.gutenber[...]
[80]
웹사이트
21.63
https://www.perseus.[...]
[81]
웹사이트
3.77.1-3
https://penelope.uch[...]
[82]
웹사이트
3.77.1-3
https://penelope.uch[...]
[83]
웹사이트
3.80.1-5
https://penelope.uch[...]
[84]
웹사이트
22.2.11-13
https://www.gutenber[...]
[85]
웹사이트
22.2.11-13
https://www.gutenber[...]
[86]
웹사이트
Bellum Hannibalicum, 10
https://www.livius.o[...]
[87]
논문
3.82.2-4
https://penelope.uch[...]
[88]
웹사이트
22.5–6
https://www.gutenber[...]
[89]
웹사이트
3.84.6
https://penelope.uch[...]
[90]
웹사이트
"The Life of Fabius Maximus", 3.3
https://penelope.uch[...]
[91]
웹사이트
22.7
https://www.gutenber[...]
[92]
서적
Broughton
1984
[93]
웹사이트
2.21.7-8
https://www.perseus.[...]
[94]
서적
Develin
1979
[95]
서적
Develin
1979
[96]
서적
Develin
1979
[97]
서적
Develin
1979
[98]
서적
Develin
1979
[99]
서적
ウァレリウス・マクシムス『有名言行録』
[100]
문서
凱旋式のファスティ
[101]
서적
リウィウス『ローマ建国史』
[102]
서적
リウィウス『ローマ建国史』
[103]
서적
ウァレリウス・マクシムス『有名言行録』
[104]
서적
ウァレリウス・マクシムス『有名言行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